연구 성과
0000-00-00
Title
저자명
학술지
0000-00-00
Title
저자명
학술지
0000-00-00
Title
저자명
학술지
CN
ZL 202080059073.1
2024년 8월 6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10-2610179
2023년 11월 30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10-2547393
2023년 6월 20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10-2597062
2023년 10월 27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10-2731131
2024년 3월 7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출원
2024년 10월 24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출원
2024년 3월 7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US
출원
2023년 10월 17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EU
출원
2022년 2월 22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US
출원
2022년 2월 22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IN
출원
2022년 2월 21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차세대 보툴리눔 독소에 대한 엠브릭스의 접근으로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를 개발하였습니다. 생산의 초기 단계부터 독소의 다양한 활용까지 차별화된 새로운 보툴리눔 독소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보툴리눔 독소의 한계에 도전하다 :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균주 이슈와 내성 문제 해결
E.coli(대장균)에서 생산한 순수 독소 유전자
엠브릭스는 Clostridium botulinum이 아닌 대장균을 유전자 숙주로 삼아 보툴리눔 독소를 생산하므로 Wild type 균주 분쟁의 여지가 없습니다.
코어톡신 생산으로 내성 발생 최소화
보툴리눔 독소 생산 단계부터 순수 독소 유전자만을 생산해 부가적으로 정제하지 않고 내성 발생율이 훨씬 낮은 코어톡신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적응증으로 확대 가능
다양한 타입의 보툴리눔 독소 보유
엠브릭스는 다양한 보툴리눔 독소 혈청형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툴리눔 독소의 타입과 부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New 키메라 보툴리눔 독소 엔지니어링
분석한 독소 부위들을 다양한 조합으로 엔지니어링하여 보툴리눔 독소의 활용성, 작용기간, 지속성, 대상 적응증 등의 경계를 넓히고 있습니다.
안전하고 빠른 생산
MVRIX의 2분할 생산법
엠브릭스는 Clostridium botulinum이 아닌 대장균을 유전자 숙주로 삼아 보툴리눔 독소를 생산합니다. 이때, 코어톡스 전체를 한번에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두 조각의 절편으로 나누어 생산하는 2분할 생산법을 채택하였습니다. 생산된 독소 절편들은 공정의 후기 단계에서 하나로 조립되어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으로서의 독성을 지니게 됩니다.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효율을 극대화
독소를 두개의 절편으로 생산하므로 조립하기 전까지 독소가 비활성 상태로 독성을 지니지 않아 BSL-2 수준에서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습니다.
배양부터 공정 완료단계까지 1주일밖에 소요되지 않습니다. 이는 기존 방식의 1/3 수준으로 시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킵니다.